필즈상
필즈상(영어: Fields Medal) 또는 필즈 메달은 국제 수학 연맹(IMU)이 4년마다 개최하는 세계 수학자 대회(ICM)에서 수상 당시 40세 미만의 수학자들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2명 이상 4명 이하에게 수여되며 필즈상 수상은 수학자들에게 가장 큰 영예로 여겨진다.[1][2]
필즈상은 캐나다의 수학자 존 찰스 필즈의 유언에 따라, 그의 유산을 기금으로 만들어진 상이다. 흔히 수학 부문에서 최고 권위에 있는 상이라 여겨져 "수학의 노벨상"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노벨상 위원회와는 관련이 없다. 1936년에 처음 시상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하여 14년간 시상이 중단되었다가 1950년부터 다시 시상이 이어졌다.[3] 한편 또 다른 유명한 수학계의 상으로는 2003년부터 노르웨이 왕실이 수여하는 아벨상이 있다.[4]
목차
수상 조건
필즈상은 상이 수여되는 해의 1월을 기준으로 40세가 되지 않은 수학자들을 대상으로 4년마다 수여되는데, 이 때문에 뛰어난 업적을 남기고도 필즈상을 수상하지 못한 수학자들도 많다. 대표적으로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했던 앤드루 와일스가 있다. 이러한 규정은 필즈의 유언에서 비롯된 것인데, 필즈는 그의 유언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 | 상의 수여는 이미 이루어진 업적을 기리면서 동시에 향후 연구를 지속하도록 격려하고 다른 수학자들의 분발을 촉구하는 뜻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 ” |
— 존 찰스 필즈
|
이러한 규정(40세 이하, 4명)에도 불구하고, 앤드루 와일스는 업적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1998년 45세에 예외적으로 필즈상 특별상을 수상했다.
1990년에는 필즈상 최초로 물리학자인 에드워드 위튼이 필즈상을 수상하였다.
2014년 마리암 미르자하니가 최초 여성 수상자가 되었다.[5]
수상자 명단
같이 보기
각주
- ↑ "2006 Fields Medals awarded
" (PDF). Notice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53 (9): 1037–1044. October 2006.
- ↑ "Reclusive Russian turns down math world's highest honour
".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CBC). 22 August 2006. Retrieved 26 August 2006.
- ↑ 김원기, 수학의 노벨상 필즈상 이야기, 살림 Math, 2010년, ISBN 89-522-1468-4
- ↑ 아벨상 홈페이지
- ↑ “여성 최초 필즈상 수상자 탄생… 이란 출신 마리암 미르자하니”
. 서울신문. 2014년 8월 13일. 2014년 9월 17일에 확인함.
- ↑ “List of Fields Medallists”
. 국제 수학 연맹.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필즈상
- 공식 웹사이트
데이트: 13.02.2021 09:38:08 CET
출처: Wikipedia (저자들 [역사]) 특허: CC-by-sa-3.0
변화들: 모든 그림과 그와 관련된 대부분의 디자인 요소가 제거되었습니다. 일부 아이콘은 이미지로 대체되었습니다. 일부 템플릿이 제거되거나 (예 : "문서 확장 필요) 할당되었습니다. CSS 클래스가 제거되거나 조화되었습니다.
기사 또는 카테고리로 연결되지 않는 위키백과 특정 링크 (예 : "레드 링크", "편집 페이지 링크", "포털 링크")는 제거되었습니다. 모든 외부 링크에는 추가 이미지가 있습니다. 약간의 디자인 변경 외에도 미디어 컨테이너,지도, 내비게이션 상자 및 음성 버전이 제거되었습니다.
부디 을 알아차리다 주어진 콘텐츠는 주어진 시점에 위키백과에서 자동으로 가져 오기 때문에 수동 확인이 가능했고 불가능했습니다. 따라서 kowiki.org는 획득 한 콘텐츠의 정확성과 실제 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현재 잘못된 정보 나 부정확 한 표시가있는 정보가있는 경우 언제든지 문의하기: 이메일.
또한보십시오: 법적 고지 & 개인 정보 정책.